ES는 Endoscopy 즉 내시경을 의미합니다.

즉 내시경영상을 저장하는 DICOM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우선 내시경장비는 현재 까지 DICOM이 지원되는 장비가 없습니다.

DICOM이 지원된다는 의미는 초음파, CT, MR장비와 같이 의료기기에서 DICOM 형식으로 File을 저장하며 전송 할 수 있는

장비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내시경 장비는 꽤 오래전부터 광학장비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런 의료IT와 관련하여서는 받아들이는 속도가 느린듯 합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전용 칼라프린터를 연결하여 프린트 출력하여 차트에 붙이곤 하죠. 하지만 아시다시피 내시경 칼라 프린터 전용

용지는 꽤 비싸기에 사용에 부담이 되곤 합니다. 그래서 초기에 는 내시경장비에서 나오는 신호 보통 일반 장비에서는 NTSC

신호가 나오죠. 이 NTSC신호라는것은 예전 칼라TV신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전 VTR과 칼라 TV를 연결할 때 흰색 빨간색

composite을 통해 연결하 게 되는데 이때 신호가 NTSC신호가 TV로 입력되어 비디오를 볼 수 있는거죠.

그래서 초기에는 간혹 NTSC신호를 TV캡쳐카드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PACS와의 연동이 중요시 되기에 Gateway를 사용하여 내시경영상을 DICOM으로 저장하고 PACS로 전송 합니다.

Gateway라는 것은 이처럼 의료기기와 PACS 중간에서 의료기기에서 나오는 영상을 DICOM으로 변환하고

PACS로 전송까지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보통 이때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DICOM 통신 관련하여 PACS로 DICOM 파일을 전송하는 DICOM Send기능을 수행하고,

그 이전에 환자 및 검사관련 정보를 받아볼 수 있는 DICOM Q/R을 지원하게 됩니다.

DICOM Q/R이란 DICOM Query & Retrieve로 DICOM통신 표준중에 “오늘 내과 내시경 검사실의 2번 내시경장비에서 검사할 환자정보를

알려줘~!” 라고 요청(Query)하면 그에대한 대답으로 PACS측에서 “오늘 10시 30분 위내시경검사 환자 홍길동, 11시 00부 대장내시경

검사 환자 김철수가 있다~!”라는 응답(Retrieve)을 받게 됩니다.

그럼 사용자 입장에서는 검사전 DICOM QR을 통해 검사할 환자 목록을 확인후 선택만 하면 환자 및 검사와 관련된 정보가 사용자의

수작업 없이 바로 입력되게 됩니다.

이는 환자정보를 수작업으로 입력하는데 발생되는 오류, 환자ID를 잘못입력하여 엉뚱한 환자에 잘못된 영상이 저장되는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럼 ES영상의 DICOM 구조를 살펴보죠. 아주 단순합니다.

es

우선 SOP Class UID는 Secondary Capture Image Storage를 1.2.840.10008.5.1.4.1.1.7를 많이 사용합니다.

uid

DICOM Standard 6. Annex A Registry of DICOM unique identifiers (UID)

다음은 환자 정보가 있겠죠. Patient ID, Name, Sex, Birth-Date…

그리고 Study 정보가 오겠네요. Study Date, Modality…

다음으로 Pixel Data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Rows, Columns, Bit관련 Tag들이 오겠네요.

일반적으로 내시경영상은 24bit BITMAP형식으로 저장하여 Pixel Data에 넣게 됩니다.

그렇기에 Photometric Interpretation(0028,0004)는 RGB가 오고, Bit Stored(0028,0101)는 R,G,B가 8bit씩 저장되기에

8을 High Bit(0028,0102)는 7을 가지게 됩니다.

참고로 위의 내시경영상에서 보이듯 실제 의미 있는 영상은 전체 영상에서 약 60%만 의미 있으며 나머지 검은색 부분은

실질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Gateway에서 영상 획득시 원하는 부분만 Crop하여 저장하기도 합니다.

워낙 기존에 설명드렸던 DICOM과 별반 다른 것이 없기에 설명이 너무 짧긴 한데요.

정말 별다른게 없기에 마땅히 더 설명드릴게 없네요;;

굳이 기존 설명중에 말씀안드리것중에 Manufacture(0008,0070)에 Gateway를 제작한 회사이름이 보통 들어가게 되고,

Institution Name(0008,0080)에는 병원이름이 들어값니다.

Operator Name(0008,1070)에 처방내린의사분들이 실제 검사도 같이 진행 하기에 보통 담당 의사명을 집어넣게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