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OM파일에는 일반적으로 한장의 Image가 포함되지만 2장이상의 이미지도 포함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DICOM파일에 여러장의 이미지가 저장되게 되며 보통 이런 영상을 한장씩 한장씩 보여주면서

마치 동영상과 같은 역활을 하기도 합니다.

이때 하나의 영상을 Frame이라고 부르며, 이런 Frame들이 모여 Multiframe DICOM영상을 구성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기존 DICOM하고 크게 다른것이 없으며 단지 Pixel Format(7FE0,0010) Tag에 여러장의 Frame이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는 구조 입니다.

multiframeDICOM

Multiframe DICOM영상은 특히 US에서 Doppler영상이나, 뇌혈관 조영술에서 Xray영상, 기타 CT,MR영상등 요즘 들어 활용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Multiframe DICOM영상이라는게 결국 각각의 영상 한장, 한장을 따로 저장하고 있기에 동영상과 비교해

보면 용량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 Pixel Format(7FE0,0010) Tag에 Image대신 MPEG2 와 같은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도 합니다.

DICOM Standard Part.6 Data Dictionary에서 Transfer Syntax에 MPEG2 압축 관련이 존재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DICOM Standard Part.5 Data Structures and Encoding에 각 MPEG 압축관련 자세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transfer_syntax_mpeg

Multiframe DICOM영상은 마치 동영상 처럼 Play하면서 보기 때문에 cine영상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Multiframe관련 Tag로는 주로 아래 Tag가 필요합니다.

multiframe_module

나머지 Tag는 그닥 중요한게 없으며 기존 1장으로 구성된 DICOM 영상을 읽는 방식과 동일하게 Pixel Format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면 되고, 단지 Number of Frames(0028,0008) 만큼 영상을 불러오기만 하면 됩니다.

Frame Increment Pointer(0028,0009)에 명시적으로 각 Frame의 Offset위치를 저장하기도 하지만 거의 저장되어 있지 않기에

그냥 1장의 영상을 계산후 그 크기만큼 이동후 다음영상을 읽는 방식을 취하는게 가장 안전성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