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COM을 다루다보면 Patient, Study, Series, Image라는 말을 많이 보게 됩니다.

아무래도 의료IT쪽에 익숙치 않다 보면 생소할 수도 있는 말인데요.

간단하게나마 위 용어들을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Patient는 말그대로 환자를 나타내고요, Patient와 관련된 정보로는 Patient Name(0010,0010), Patient Sex(0010,0040), Age,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Patient Sex(0010,0040)는 보통 사람일경우 Male, Female, Other 이렇게 구분을 많이 하고요, 실제 Tag에

Male, Female 이렇게 저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보통은 M, F, O 이렇게 한글자만 저장합니다.

Patient를 구분하는 고유 번호는 Patient ID(0010,0020)이며 병원내부에서 사용하는 환자번호를 사용합니다.

Patient Name(0010,0010) Tag를 살펴보시면 VR이 PN으로 Person Name을 의미합니다. PN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DICOM Standard Part.5:Data Structure and Encoding을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전에 언급했던 Patient First, Middle, Last Name의 구분자 code(‘^’)라던가 한글이름, 영어이름 혼합 사용법 등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한가지 Tip은 Konica CR초기 버전에서 DICOM Worklist시 영어이름은 보이지만 한글 이름으로만 보이지 않는경우

“English Name=한글이름” 형식으로 저장하시면 됩니다.혹 “=한글이름”이렇게만 입력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Patient Age는 Tag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대신 Patient BirthDate(0010,0030)를 삽입합니다. 환자의 나이는 BirthDate

만으로도 촬영시 나이, 현재 나이 등을 쉽게 계산해 낼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Patient에는 1개 혹은 그 이상의 Study를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의 Study는 한개 혹은 그이상의 Seires를 가지게 되고요.

Series도 1개 혹은 그 이상의 Image를 가지게 됩니다. 여기서 Image를 간혹 Instance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patient_study_series_image

여기서 Series의 개념이 조금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보통적으로 CT촬영을 한다고 했을때 조영제를 투약후 촬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조영제를 투약전에 한번 검사를 수행하고,

다시 조영제를 투약후 다시 재검사를 수행하게되면, CT촬영이라는 검사 자체가 1개의 Study가 되고, 조영제 투약전 CT촬영, 조영제

투약후 CT촬영 이렇게 2개의 Series가 생성되게 됩니다.

그렇다고 반드시 Series의 촬영장비(Modality)가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간혹 PET-CT촬영을 하는경우 한 환자에게 한번의 검사를 수행시

한번은 PET을 촬영하여 Series No.1로 저장하고 CT를 촬영하여 Series No.2로 저장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Seires No.1의 Modality는

PET이며, Sereis No.2의 Modality는 CT가 되게 됩니다. 하지만 Study의 Modalty는 PET-CT가 되겠네요.

이런식으로 개념적으로 Patient, Study, Series, Image를 구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