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DICOM File을 구성하는 Element에 대해 설명 했습니다.

그럼 실제 초음파 or 내시경 DICOM과 같이 이미지가 포함된 파일은 어떻게 저장될까요?

즉, 이미지 파일은 어디 저장 될까요?

DICOM파일은 이미지 자체도 Element로 저장됩니다. 바로 Pixel Data(7FE0,0010) Tag에 저장됩니다.

여기에 저장되는 이미지의 형태는 다른 Tag를 통해 달라지게 됩니다.

여기서 부터 많이 복잡합니다. ㅡㅡ; 하나씩 보죠.

가장 먼저 압축된 영상과 압축되지 않은 영상으로 구분됩니다.

압축된 영상은 DICOM에서 지원하는 압축 알고리즘이 존재하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Transfer_syntax_compression

실제로는 이거보다 더 많은 종류가 있지만 여기에는 몇개만 올려 놓았습니다. 전체는 DICOM Standard Part6.에서 확인하세요.

즉, 해당 DICOM영상의 압축 종류는 Transfer Syntax(0020,0010) Tag의 UID값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만약 Transfer Syntax값이 “1.2.840.10008.1.2.4.50”인경우 해당 DICOM 영상은 Jpeg으로 압축되어 있다는 의미 입니다.

즉 Pixel Data(7FE0,0010) Tag에는 Jpeg으로 압축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Bitmap형식으로 저장된것과 다르게 Pixel Data가 압축된 경우에는 해당 Header까지 같이 저장되어 있기에

Pixel Data만을 jpeg 파일로 저장 후에 이미지 뷰어를 통해 보게되면 실제 이미지를 볼수 있습니다.

한가지 Tip 입니다.^^

하지만 “1.2.840.10008.1.2.1” or “1.2.840.10008.1.2”와 같이 Raw Bitmap 형태로 저장되는 경우에는 Pixel Data(7FE0,0010)에

Header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다른 Element의 Tag를 이용하여 Image화 시킬 수 있습니다.

우선 Raw Bitmap 형태의 Data인 경우 Photometric Interpretation(0028,0004) Tag를 보시면,

MONOCHROM1, MONOCHROM2인경우는 Gray scale 이미지를 뜻합니다. 즉 흑백 영상이죠.

PALETTE_COLOR인경우 Palette를 가지는 Bitmap을 뜻하죠. 그럼 보통 Palette의 크기는 256개로 1byte크기이기에

8bit Raw bitmap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한가지 Tip은 보통 PALETTE_COLOR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Red Palette Color Lookup Table Data(0028,1201)과 같은

Tag가 없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런경우는 기본값 즉 Gray scale형태로 표현하면 됩니다.

만약 Red Palette Color Lookup Table Data(0028,1201)에 Data가 존재하는 경우는 Red Palette Color Lookup Table

Descriptor(0028,1101)을 참조하여 Palette를 해석하면 됩니다.

RGB인경우는 r,g,b 1byte씩 총 24bit Color Bitmap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기타 추가적인 Photometric은 DICOM Standard Part3. C.7.6.3.1.2 Photometric Interpretation에서 확인하세요.

영상이 MONOCHROM1, MONOCHROM2인 경우 Bits Stored(0028,0101) Tag가 보통 8, 12, 16 값을 가지게 됩니다.

즉 흑백영상의 bit 수를 의미하죠. 8bit grayscale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흑백 bitmap이미지이고요, 12bit grayscale

영상은 주로 CT영상에서 사용하는 의료에서 많이쓰는 Bitmap형식 입니다. Pixel 크기가 12bit 이기에 8bit는 어둡고

밝은 정도가 256단계 이지만 12bit는 4096 단계로 더 해상도가 높게 저장을 하지요. 하지만 추후 CT는 Pixel에 밝기라는

값의 형태라기보다는 HU(Hounsfiled Uniit)이라는 형태로 저장하기에 조금 다르긴 합니다.

16bit는 주로 MR혹은 Nuclear Imaging, 즉 핵의학 영상에서 주로 사용 됩니다.

여기서 MONOCHROM1, MONOCHROM2차이는 단지 Pixel값이 0인경우 흰색이냐 검정색이냐 차이만 다른겁니다.

간혹 영상을 Display했는데 반전된 영상이 나왔다면 MONOCHROM해석이 잘못된것일 확률이 높습니다.